나는 어떤 블로그를 만들것인가. 내가 만들 블로그는 어떤 내용들로 꽉 차 있을까.
모든 성공한 블로그는 이 3가지 안에서 정체성을 찾았습니다. 한 개인을 내세워 키워드를 부여하거나, 전문적인 후기 블로그, 마지막으로 블랜드 중심의 블로그 입니다. 하나씩 알아 볼까요?
1 한 개인을 브랜딩 하기
소아 정신과 전문의, 강아지 훈련사,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온라인 마케팅 전문가와 같이 한 개인을 내세워 카워드를 부여하는 겁니다. 한 개인을 내세워 브랜드 블로그를 운영하고 그 개인을 키워드로 활용하는 방법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면 해당 분야에서 개인 브랜드를 구축하고 독자들에게 신뢰를 주며 블로그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 방법을 구체화하는 몇 가지 팁입니다: 선택한 개인은 해당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해당 분야에서의 경험이나 자격증, 학위 등을 통해 입증될 수 있습니다.
키워드 연결:
개인의 이름과 해당 분야의 키워드를 연결하세요. 예를 들어, "소아 정신과 전문의 [이름]" 또는 "강아지 훈련사 [이름]"와 같이 개인의 이름과 관련된 키워드를 사용하여 블로그의 콘텐츠를 제작하세요.
개인 스토리 투영:
개인 브랜딩은 개인의 고유한 스토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해당 분야에서 어떻게 전문가가 되었는지, 어떤 경험을 가지고 있는지를 독자들에게 공유하여 개인적인 연결을 형성하세요.
전문성 강조:
블로그 콘텐츠를 통해 개인의 전문성을 강조하세요.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활용:
개인 브랜딩을 확장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세요. 해당 분야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 커뮤니티와 상호 작용하여 브랜드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콘텐츠 품질 유지:
블로그의 콘텐츠는 항상 높은 품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정보성과 유용성을 강조하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세요.
브랜드 일관성:
개인 브랜딩과 블로그 브랜딩을 일치시키세요. 로고, 컬러, 디자인 요소 등을 통해 일관성을 유지하세요.
피드백 수용:
독자들의 의견과 피드백을 수용하고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이세요. 이는 독자와의 상호 작용을 강화하고 브랜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 개인을 내세워 브랜드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은 독자들과의 강력한 연결과 신뢰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것이 블로그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성공적인 블로그 운영을 위한 중요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2 한 분야의 후기 블로그 운영하기
블로그, 인스타, 유튜브 모든 온라인 마케팅 채널에 들어오는 사람들의 니즈는 대부분 다른 사람들의 의견, 생각, 사생활을 보고 싶어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모든 채널에 '후기성'으로 운영하는 채널이 존재합니다.
후기야말로 한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판단을 주관적으로 볼 수 있는 콘텐츠니까요. 그래서 이 후기성은 어느 채널에서나 스테디셀러 콘텐츠이며 영원히 죽을 수 없는 형식의 콘텐츠입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한 분야에 대해서만 콘텐츠를 발행해야 신뢰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이면 부동산, IT면 IT, 마케팅이면 마케팅 등 한 분야에 대한 후기성 콘텐츠를 발행해야만 내 블로그에 진입한 사람들이 다른 콘텐츠를 읽을 수도 있고 네이버 블로그 로직상 노출도 유리합니다. 꼭! 한 분야에 대해서만 발행해 주세요.
이러한 방식으로 블로그를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주요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 전문성:
선택한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과 전문성을 가지고 콘텐츠를 제작하세요. 독자들은 후기성 콘텐츠를 통해 정보와 가치를 얻기를 기대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주제의 한정성:
성공적인 후기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해 특정 분야에 집중하세요. 이는 블로그가 관련성을 유지하고 신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타겟 오디언스 이해:
타겟 오디언스의 니즈와 관심사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세요. 후기성 콘텐츠는 독자들이 다른 사람의 의견과 경험을 참고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다양한 채널 활용:
블로그 외에도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각 플랫폼에 맞게 컨텐츠를 조정하여 브랜드의 가시성을 높이세요.
높은 품질의 리뷰 및 평가:
제품, 서비스 또는 경험에 대한 리뷰와 평가를 작성할 때 정직하고 투명하게 내용을 전달하세요. 독자들은 신뢰성 있는 정보를 원하기 때문에 품질과 진실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커뮤니티 참여:
관련된 온라인 커뮤니티나 포럼에서 활동하여 브랜드를 홍보하고 권위를 구축하세요.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 작용하며 브랜드를 확장하세요.
콘텐츠 업데이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가 업데이트되므로, 블로그와 다른 채널의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세요.
브랜딩 유지:
블로그와 다른 채널 간에 일관된 브랜딩 요소를 유지하세요. 로고, 디자인, 색상 등을 통해 브랜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세요.
후기성 블로그는 독자들에게 가치 있는 정보와 관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브랜드를 홍보하고 확장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선택한 분야에서 높은 신뢰도와 전문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내 브랜드 알리기
만약 본인이 운영하고 있는 가게나 회사와 같은 브랜드가 있다면 이 브랜드를 노출시켜 브랜딩을 노리는 방법입니다. 브랜드를 중심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면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일 수 있고 담당자가 바뀌더라도 톤 앤 매너만 유지한다면 아무 문제 없이 돌아갈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
브랜드를 중심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방식은 특히 가게나 회사와 같은 비즈니스 브랜드를 홍보하고 브랜딩을 강화하는 데 유용한 전략입니다. 이 방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고 고객과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으며, 브랜드의 메시지와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브랜드 중심 블로그 운영에 대한 몇 가지 제안입니다:
브랜드 메시지 강조:
블로그를 통해 브랜드의 핵심 메시지와 가치를 강조하세요. 브랜드의 미션, 비전, 유니크한 특징 등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공유하세요.
브랜드 스토리텔링:
브랜드의 역사나 창업 이야기를 공유하여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인 연결을 형성하세요. 스토리텔링은 브랜드를 인간화하고 고객들과의 감정적인 연결을 촉진합니다.
고객 이야기 공유:
고객들의 경험과 이야기를 블로그에 게시하여 실제 사용자들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이는 브랜드 신뢰성을 높이고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맞춤형 콘텐츠 제작:
브랜드와 관련된 주제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하세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 팁, 업데이트, 행사 정보 등을 공유하여 고객들에게 가치를 제공하세요.
소셜 미디어 연동:
블로그 콘텐츠를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연동하여 브랜드의 가시성을 높이세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블로그 내용을 홍보하고 고객과 상호 작용하세요.
컨텐츠 일관성:
블로그와 브랜드의 메시지와 스타일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세요. 로고, 디자인, 컬러 스키마 등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유지하세요.
피드백 수용:
독자들의 피드백을 환영하고 고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주세요. 이는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신뢰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브랜딩 전략:
브랜드 블로그를 통해 실제 판매나 프로모션을 진행할 때,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브랜딩 방법을 고려하세요. 할인 행사, 새로운 제품 출시, 이벤트 등을 통해 브랜드 가시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브랜드 중심 블로그 운영은 브랜드의 가치를 강조하고 고객과의 관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브랜드의 신뢰성을 구축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어떤 정체성을 선택할지는 블로거의 관심과 목표, 전문 지식, 타겟 대상 독자 등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또한 블로그의 성공은 콘텐츠 품질, 마케팅 노력, 커뮤니티 구축 등 여러 가지 다른 요소에도 의존합니다. 따라서 블로그를 시작하거나 개선하려면 신중한 계획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일하는기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의 시작 (6) | 2023.09.21 |
---|---|
50부터는 노후 걱정 없이 살아야 한다 - 강창희의 노후 대비와 후반 인생 설계 (36) | 2023.08.20 |
최재천 교수의 제2의 인생을 준비하려면 읽어라 (1) | 2023.08.20 |
한근태의 고수의 학습법: 통찰력을 키워 성장하는 끊임없는 학습 (2) | 2023.08.20 |
예산 관리의 달인이 되어보자: 노후 대비가 쉬워진다 (2) | 2023.08.19 |